강아지 열사병 증상과 예방 그리고 열사병일 때 처치 방법

강아지 열사병 증상과 예방 그리고 열사병일 때 처치 방법

강아지는 유독 더위에 취약하기 때문에

많은 보호자분들이 외출 시에는 물론

실내 온도와 습도 관리에도 주의를 기울이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덥고 습한 여름은

많은 강아지들을 위험하게 만들고 있어요,

열사병에 대한 위험은 견종이나 지병, 연령 등에 따라

달라지지만 환경의 정비와 수분 섭취에 등에 신경 쓰면

충분히 예방을 할 수 있는 질병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보호자만이 할 수 있는 것으로,

열사병의 위험과 그 대책을 잘 알고

반려견을 열사병으로부터 보호해 주세요~


강아지 열사병 증상

고온의 환경에 노출되거나 운동 등에 의해

몸에서 많은 열을 만드는 상황에서

몸의 열을 밖으로 방출하는 작용이 충분하지 않게 되어

일어나는 부진을 총칭하여 열사병이라고 합니다.

열사병은 눈 깜짝할 사이에 일어납니다.

아래로 내려갈수록 심각한 증상을 나타냅니다.

• 급격한 체온 상승

(강아지 정상체온은 37~39도. 40도 이상 상승)

• 기운이 없고 침착하지 못한 모습

• 혀를 내밀고 거친 숨을 몰아쉰다

• 대량의 침을 흘린다

• 눈이나 구강점막의 충혈

• 구토나 설사를 한다

• 축 늘어져서 일어날 수 없다

• 의식을 잃는다

• 몸의 경련이 발생한다

열사병은 급격하게 진행되어

반려견의 생명을 위험에 빠뜨릴 수 있습니다.

또 중증이 되면 회복을 한다고 해도

후유증을 남길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조치가 꼭 필요합니다.

강아지 열사병 원인

사람은 체온이 오르면 땀을 흘려 기화열로 인해

몸의 체온을 낮추는 기능이 있지만

강아지는 땀샘이 발바닥 등 소량만 있어

땀을 통해 체온 조절을 거의 할 수 없습니다.

강아지는 주로 타액을 증발시켜 기

화열을 이용하는 방법(팬팅 호흡)과

몸에 찬 것을 직접 대는 방법으로 체온 조절을 해요.

그러나 고온다습한 곳에서는 체온 조절의 핵심인

타액의 증발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에서는 체온 조절을

호흡에 의존할 수밖에 없고

또 두꺼운 털이 온몸을 덮고 있는 강아지는

사람보다 고온 환경에 약할 수밖에 없을 거예요.

열사병은 환경과 행동, 그리고 견종과 컨디션에 따른

요인이 겹친 경우에 발생하기 쉽습니다.

<환경에 의한 요인>

• 기온이 높다

• 습도가 높다

• 강한 직사광선을 쬐고 있다

• 환기가 잘되지 않는다

• 바람이 약하다

• 의복 등을 껴입고 있다

<행동에 의한 요인>

• 격렬한 운동

• 장시간의 땡볕에 놀거나 산책

• 수분 공급 부족

차내에서는 ‘잠깐’이라도 위험해요!

열사병에 걸리기 쉬운 환경은?

• 차 안에 혼자 둘 때

여름철 차내는 50도 가까이 올라갑니다.

창문을 열어 두었다고 해도

더운 공기는 잘 빠지지 않기 때문에 위험해요.

강아지를 차 안에 두고 잠시라도

볼일을 보러 가는 것은 절대로 하지 않아야 해요.

• 꼭 닫아 둔 더운 실내에 혼자 있을 때

강아지를 혼자 둘 때는

에어컨을 켜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실내 온도가 너무 높아질 수 있어요.

또한 직사광선이 내리쬐는 장소에

설치한 케이지에 반려견을 넣어 둔 경우에도

열사병의 위험이 매우 높아집니다.

• 무더운 날씨에 산책

사족 보행하는 강아지는 사람보다

지면에 가까운 위치에 있기 때문에

아스팔트의 반사열로 인해 체감온도가

상상 이상으로 높아진다고 해요.

다리가 짧은 강아지는 특히 조심해야 합니다.

여름철 산책은 해가 내리쬐는 시간을 피해

이른 아침이나 해가 지고 난 후에 하는 것을 권해요.

• 무더운 날씨에 야외 활동(운동, 수영 등)

운동함으로써 체온은 올라갑니다.

수분 섭취를 충분히 시키고

장시간의 운동은 피하도록 해요.

• 야외 생활을 할 때(목줄로 연결해 둘 때)

바깥에 사는 강아지가 더위를 피할 곳이 없을 때

열사병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더위에 약한 견종 단두종의 경우

위 상황에서 특별히 더 주의해 주세요~

적절한 처치와 병원에 갈 타이밍

• 우선 몸을 차게 식혀 주기

의식이 또렷이 있고 비교적 가벼운 경우에는

물에 적신 차가운 수건이나 아이스 팩, 차가운 캔 등으로

목이나 겨드랑이, 안다리 부분을 식힙니다.

의식이 몽롱한 것 같은 중증의 경우에는

전신에 물을 뿌려주거나 물이 차 있는 통에

목부터 아래를 담가주면 몸을 빨리 식힐 수 있어요.

단 얼음물 등 너무 차가운 물은 혈관을 수축시켜

역효과가 될 수 있으니 주의해 주세요.

• 가능하다면 물을 먹이기

강아지가 의식이 있어 자력으로 마실 수 있으면

시원한 물을 조금씩 먹게 해 주세요.

의식이 없는 경우에는 기관으로 잘못 들어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억지로 먹이지 않는 것이 낫습니다.

• 몸을 차게 하면서 동물 병원에 데리고 가기

몸의 열을 식히는 응급처치 후에는

최대한 빨리 병원에 데려가는 것이 좋습니다.

즉시 대응을 받을 수 있도록

병원에 미리 전화 연락을 하고

이동할 때도 강아지의 몸을 식히는 조치를 해 주세요.

증상이 가벼워 보여도 나중에 악화될 수 있고

후유증이 남을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동물병원에서 진찰을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열사병은 폭염은 물론 요즘 같은

장마 시기에도 많이 발생할 수 있어요.

반려견의 모습을 잘 지켜보면서

실내 온도와 습도를 잘 체크해 주세요.

냉각 기능이 있는 매트 등도 시판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상품도 이용하면서

만반의 열사병 대책을 세워

건강하게 여름을 나길 바랍니다. 🙂

​[출처] 닥터멍동물병원(https;//blog.naver.com/dm5547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