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강아지 비만의 기준
1. 외관적 기준
- 허리선 검사: 위에서 볼 때 허리가 뚜렷이 구분되지 않음
- 등쪽(등 위쪽) 선: 등 뼈가 눈에 띄지 않거나 가볍게만 만져짐
- 배꼽 처짐: 배가 처지거나 지방이 축적됨
- 비만 롤: 가슴과 배 주변에 지방 롤이 형성됨
2. 신체 검사
- 체중: 품종, 나이,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이상 체중의 20% 이상 과체중
- 체지수(Body Condition Score, BCS): 수의사가 강아지의 체지방 비율을 5단계 척도(1~5)로 평가함
- 피하 지방 두께: 등과 갈비뼈 부위의 피하 지방 두께를 측정하여 과도한 지방 축적 확인
3. 건강 상태
- 호흡 곤란: 과체중 또는 비만인 강아지는 운동이나 흥분 시 호흡 곤란을 겪을 수 있음
- 관절염: 과체중은 관절에 부담을 주어 관절염 발병 위험을 증가시킴
- 심혈관 질환: 비만은 심장과 혈관계에 부담을 주어 심혈관 질환 위험을 높임
- 당뇨병: 비만은 인슐린 저항성을 일으켜 당뇨병 위험을 증가시킴
4. 기타 지표
- 활동성 감소: 과체중 또는 비만인 강아지는 활동적이지 않고 피곤해 보임
- 식탐 증가: 비만인 강아지는 배가 고파 보이거나 과식을 함
- 피부 문제: 과체중 또는 비만인 강아지는 피부 문제(예: 피부염, 감염)를 겪을 수 있음